걸캅스는 단순한 코믹 액션 영화로 보기엔 아까운 작품이다. 2019년 개봉 당시에도 "여성 영화"라는 프레임으로 다양한 평가가 오갔고, 지금 다시 돌아봐도 그 시선의 온도차는 여전하다. 누군가는 이 영화를 '페미니즘 영화'라고 비판했고, 누군가는 '현실을 반영한 연대의 이야기'라고 옹호했다. 나는 그 어느 쪽도 확실히 속하지 않지만, 이 영화를 보고 난 뒤, 조심스럽게 내 안의 감정을 정리해보고 싶어졌다.
불편했던 시기, 나의 '알깨기'와 시작된 관심
한창 페미니즘이라는 단어가 뉴스와 SNS에서 쏟아질 때, 나는 '전통적인' 사회 속에서 자란 사람이라는 핑계로 그 흐름에 쉽게 합류하지 못했다. 사실 지금도 페미니즘이라는 말을 입 밖에 꺼내는 것 자체가 조심스럽다. 하지만 나름대로 평등하게 살았다고 생각했던 내 삶이, 어떤 시점에서부터는 너무 닫혀 있었구나 하고 느끼게 됐다. SNS에서 우연히 본 이야기 하나, 누군가의 경험담 하나가 '알을 깨는' 계기가 됐고, 어느 날 문득 내가 당했던 일들이 '폭력'이었다는 걸 뒤늦게 알아차렸다. 그 뒤로 조금씩 관련 이야기들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지인들과도 조심스럽게 관련된 일화들을 나누기 시작했다. 이 영화 걸캅스는 그 시기의 내가 바라본 세상과 감정을 고스란히 스크린에 옮겨놓은 듯한 기분을 주었다.
성별을 언급하는 방식, 분명 아쉬웠지만…
걸캅스는 ‘여자’ 형사가 주인공이고, 디지털 성범죄를 추적하는 내용을 다룬다. 영화는 ‘여자, 남자’라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몇몇 장면은 전형적인 성별 이분법적 구조를 답습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 작품을 ‘완벽한 페미니즘 영화’로 보기엔 분명 무리가 있다. 하지만 그것이 이 영화의 의미를 폄하해야 할 이유는 되지 않는다. 이 영화가 하고 싶었던 건 ‘여성만을 위한 이야기’가 아니라, 피해자와 가해자의 구도를 명확히 하고, 누가 잘못했고 누가 분노해야 하는지를 다시 말해주는 것이었다. 특히 미영의 대사 한 줄이 마음을 울렸다. “내가 왜 굳이 나서는 것 같아? 여자로서 안타까워서? 여자들이 자기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거 보면 화가 나서 그래. 어쩌다 나쁜 놈들한테 당한 거 뿐인데.” 이 말 속에는 수많은 피해자들이 감내해온 침묵과, 그걸 지켜보는 이들의 분노가 응축돼 있다. ‘여자’라는 단어가 쓰였지만, 사실 그 말은 성별이 아니라 ‘피해자’를 뜻한다. 반대로 ‘놈들’이라는 단어는 ‘남자’가 아니라 ‘가해자’를 의미한다. 영화는 그렇게, 우리가 쉽게 말하지 못했던 것을 익숙한 언어로 풀어낸다.
불편함을 넘어서, 함께 나아가기 위한 시작
나는 이 영화를 보며 한참을 고민했다. ‘괜히 이런 이야기를 꺼낸 건 아닐까’,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걸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실제로 글로 정리하려고 하면 더 조심스럽고, 말은 말처럼 잘 안 나왔다. 성별 이야기를 하는 것이 불편하게 느껴지는 사회라는 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증거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걸캅스는 분명 하나의 시도였다. 아직은 부족한 부분도 있었고, 다소 단순한 전개일 수도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 성범죄라는 현실적 이슈를 다루며, 관객으로 하여금 '내 이야기일 수도 있다'는 감정을 이끌어낸다.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고, 누구나 그 피해를 외면할 수도 있는 세상에서, 이 영화는 '연대'라는 키워드를 조용히 꺼내 보여준다. 나는 여전히 이 주제에 대해 말하는 게 어렵고,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꺼낼 땐 주춤하게 된다. 하지만 걸캅스를 통해, 말로는 표현되지 않는 감정들이 분명히 있다고 느꼈다. 그건 불편함을 넘어서 서로를 이해하려는 시작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걸캅스는 완벽한 영화는 아니지만, 충분히 의미 있는 영화다. 지금도 뉴스 속에서 반복되는 디지털 범죄와 피해자들의 침묵 속에서, 이 영화는 다시 꺼내봐야 할 작품이다. 연대와 분노, 그리고 말하지 못했던 진심들이 담겨 있는 영화. 나는 그래서 이 작품을 더 많은 사람이 봤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