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웨덴과 한국의 성장 영화 비교 – '개 같은 내 인생(1987)'과 우리들

by cheda-cheeese 2025. 2. 18.

개 같은 내 인생 (1987)

  • 장르: 드라마, 성장
  • 감독: 라세 할스트롬
  • 출연: 안톤 글란체리우스, 아넷 프뢰엘리우스, 토마스 폰 브뢰름센

 

 

 

성장 영화는 한 인간이 겪는 감정과 변화를 가장 섬세하게 담아내는 장르다. 특히 어린 시절의 외로움과 성장통을 그린 영화들은 나라와 문화를 초월해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는다. 스웨덴 영화 개 같은 내 인생(My Life as a Dog, 1987)과 한국 영화 우리들(2016)은 그런 점에서 매우 흡사한 감성을 공유하는 작품이다.

두 영화는 서로 다른 시대와 공간을 배경으로 하지만, 주인공들이 겪는 감정과 성장 과정은 비슷한 맥락을 가진다. 과연 개 같은 내 인생우리들은 어떻게 닮아 있고,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을까?

주인공의 성장 배경 – 1950년대 스웨덴 vs 현대 한국

개 같은 내 인생의 주인공 잉마르(안톤 글란체리우스)는 병약한 어머니와 함께 살다가 시골 친척 집으로 보내진다. 1950년대 스웨덴 시골을 배경으로, 그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성장한다.

반면 우리들의 선(최수인)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 초등학생으로 살아가며 친구 관계 속에서 겪는 갈등과 외로움을 경험한다. 잉마르는 가족과의 이별과 정체성 혼란을 겪고, 선은 또래 집단 내에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시대와 배경은 다르지만, 두 영화 모두 어린아이들이 처한 사회적 환경이 그들의 내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고독과 외로움 – 혼자가 된 아이들

두 영화의 주인공들은 공통적으로 깊은 외로움을 느낀다.

  • 잉마르는 어머니가 자신을 돌볼 수 없게 되자 갑자기 낯선 환경에 놓인다. 친척들과 어울리려 하지만, 언제든 다시 떠나야 한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 그의 외로움은 우주에 버려진 개 ‘라이카’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 은 가정 내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하는 아이이며, 여름방학 동안 새로운 친구를 사귀지만, 점점 따돌림을 당하면서 관계에서 상처를 받는다.

이처럼 두 영화는 주인공이 속한 사회와 환경이 아이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며, 관객들이 자연스럽게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든다.

우정과 배신 – 인간관계에서 배우는 것들

어린 시절 우리는 관계 속에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 두 영화 역시 주인공들이 다양한 관계를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 잉마르는 시골 마을에서 만난 다양한 어른들과 친구들을 통해 세상을 배워간다. 특히 남자아이로 살아가야 하는 한 소녀와의 관계는 그에게 특별한 경험을 남긴다.
  • 선은 친구와의 갈등을 겪으며 신뢰와 배신을 경험한다. 특히 새로운 친구 지아와의 관계 속에서 친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과, 친구 관계에서 소외되는 아픔을 동시에 경험한다.

두 영화 모두 주인공이 인간관계를 맺고 깨져가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개 같은 내 인생은 가족과 어른들의 영향을 더 많이 다루는 반면, 우리들은 또래 관계에서의 갈등과 감정 변화에 더 집중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성장은 완성되지 않는다

성장 영화는 종종 ‘해피엔딩’보다 ‘현실적인 마무리’를 선택한다. 두 영화 역시 명확한 결말을 내리지 않으며, 주인공이 여전히 성장 과정에 있음을 강조한다.

  • 개 같은 내 인생은 잉마르가 가족과 떨어져 지내며 스스로를 이해해 가는 여정을 그린다. 그는 완전한 행복을 찾지는 못하지만, 자신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나아가려 한다.
  • 우리들 역시 선이 친구 관계에서 상처받고 성장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영화가 끝나도 그녀의 고민과 갈등이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는다.

두 영화 모두 성장 과정에서의 아픔과 희망을 동시에 담아내며, 삶이란 단순히 ‘행복’과 ‘불행’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관객들에게 전달한다.

성장 영화가 주는 공감과 위로

스웨덴의 개 같은 내 인생과 한국의 우리들은 시대와 문화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어린 시절의 외로움과 성장통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깊은 공감을 자아낸다.

이 두 영화는 우리가 어린 시절 겪었던 감정을 되새기게 하고, 그 시절의 우리도 결국 잉마르나 선처럼 아픔을 겪으며 성장해 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든다.

만약 성장 영화가 주는 감동을 다시 한번 느끼고 싶다면, 이 두 작품을 함께 감상해보길 추천한다.